본문 바로가기
AI 멀티사무원 양성 과정/전산회계 2급

전산회계

by 복숭아 백설아 2025. 4. 16.

[3. 재무제표]

 

1. 재무제표

외부 이해관계자들(주주, 채권자, 경영자, 정부 등) 에게 회계정보를 필수적으로 보고해야하는 핵심적인 수단

● 재무상태표 : 일정시점 (결산일), 자산/부채/자본의 재산상태를 나타내는 장부

손익계산서 : 일정기간, 경영성과(수익, 비용, 이익) 제공

현금흐름표 : 현금의 유입과 유출에 대한 흐름 제공(영업활동, 투자활동, 재무활동)

자본변동표 : 자본의 크기와 변동에 관한 정보 제공(소유주의 투자, 소유주에 대한 분배)

주석 : 별지에 설명첨부. 재무제표에 대한 보충설명, 회계정책 등 제공

 

2. 재무상태표 작성기준 (자산 = 부채 + 자본)

유동성 배열법 : 계정과목을 유동성(현금화)이 높은 것부터 배열 *낮은 순으로 바꿔 내기도 함

구분표시 : 중요한 (내용, 금액 등) 항목은 별도로 구분 표시, 중요하지 않으면 통합 표시 가능

유동/비유동 : 유동/비유동 구분은 기본적으로 1년을 기준(예외: 정상적인 영업주기가 1년을 넘길 경우)

*항상 1년이다 -> 틀릴 수도 있는 선지, 예)조선업

총액주의 : 자산과 부채를 상계하여 순액으로 보고하지 않는다. 

잉여금 구분의 원칙 : 영업활동의 결과인 이익잉여금과 자본활동의 결과인 자본잉여금을 구분 표시

미결산항목 : 가지급금/가수금과 같은 임시계정은 표시하지 않는다.

 

3. 손익계산서 작성기준 (비용 + 이익 = 수익, 수익 - 비용 = 이익)

  발생주의 : 수익과 비용은 현금의 유입이나 유출이 수반되지 않았어도, 거래가 발생하면 회계처리한다.

  실현주의 : 수익 인식의 원칙, 수익은 실현 시기를 기준으로 인식한다.

  수익/비용 대응의 원칙 : 비용 인식의 원칙, 비용은 그와 관련된 수익이 발생한 기간에 인식한다.

  총액주의 : 수익과 비용을 상계하여 순액으로 표시하지 않는다.

  구분계산 : 매출총손익, 영업손익, 법인세 차감전 순손익, 당기순손익 등으로 구분계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