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거래의 식별 | ● 회계상 거래인지 판단 1. 자산/부채/자본의 증감을 가져 와야 한다. 2. 그 값을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회계상 거래 -화재, 도난 등에 의한 자산의 감소 -자산의 가치 감소 - 기부금 지급 등 회계상 거래 & 일상거래 -자산, 상품의 매매 -채권, 채무 발생 -손익 발생 등 일상 거래 -종업원 채용 계약 -> 회계 시험 2급, FAD 2급에 나옴 -주문 - 구두약속 |
2. 분개 (분개장) | 회계상 거래라고 판단되면 계정과목과 금액을 측정하여 차변과 대변에 기록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록절차를 분개라 한다. 예) 상품 100 / 현금 100 |
3. 전기 (분개장 -> 총계정원장) | 분개한 내용을 해당 원장으로 이전하여 기록하는 과정을 전기라고 한다. (전산회계에서는 이 작업은 생략된다.) 예) 상품 현금 (현금) 100 l 공백 공백 ㅣ(상품) 100 |
4. 결산 | 기중에는 분개와 전기를 하고, 기말이 되면 자산, 부채, 자본의 상태를 정리하고, 수익과 비용을 이연/ 발생시키는 등 수정/정리 분개를 해야 하는데 이를 결산이라 한다. - 결산 예비 절차 : 수정 전 시산표, 결산수정분개, 수정 후 시산표, 재고조사표 작성 - 결산 본 절차 : 분개장 마감, 총계정원장 마감, 손익계산서 마감, 재무상태표 마감 - 재무제표 작성 |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