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학기 AI 프로그래밍실습 2024.08.19 오전수업
MES 가상 공장을 그리며 만드는 것
자동차 부품 중 호스 제품 만드는 과정
과정
1) 내압출
2) 유직/편조공정
3) 외압축
4)성형공정
-세척
-재단(절단)
-조립
-마킹
-검수+포장 (옛날에는 포장을 따로 했으나 요즘에는 공정 단순화를 하려고 같이함)
*공정에 대해 이해 : 무엇이 필요한지, 공정별로 어떻게 흘러가고 프로그램에서 뭘 관리하는지
admin 페이지에 들어가서, 프로세스 속성 칸의 기준정보 하단 거래처정보관리를 클릭한다.
기준정보는 하나의 메뉴에 다 담으면 좋겠지만,
주민등록, 세무, 농지대장 관리부서 등등이 있듯이 나뉘어있으니 거래처정보가 많다보니 그리고 특성이 있다보니 분류를 해보니 거래처정보 중 품목을 관리하는 것이 기준정보.
자재부문 리스트나 재조실행리스트 는 공정, 설비, 작업자 정보, 분량, 관리해야할 게 많다. 예방보전, 설비수리도 있고, 이러한 부문을 아울러 기준정보라고 항목관리를 한다.
일부는 영업/제조 생산을 나누는 곳도 존재한다.
*해당하는 속성값이 왜 필요한지 생각하며 추가
필수칸은 등록 안한 경우는 많지만, 꼭 이 정보는 넣어야한다는 의미이다.
21번까지 완료한 뒤,
내가 프로그램을 한다면 어떻게 하면 좋다던지, 궁금증에 대해 성찰하여 볼 것.
법인등록번호 = 주민등록번호
사업자등록번호 = 군번이나 학번 > 6자리 7자리로 법인 번호가 나옴
나는
'거래처 정보 관리에서 담당자를 말함은 누구를 말하는 걸까?'
라는 의문이 생겼다.
언제 필요한지로 둘러 질문했다.
콜센터는 무작위인반면 일반회사에는 부서별로 있다. 업체의 품질불만인 경우, 영업주문인 경우의 부서가 있고, 해당하는 업무 담당자를 뜻한다. 업무를 유기적으로 편안하게 담당하기 위한 분류이다.
예) 설비 제작 > 설비 중력, A/S담당, 담당자 연락처가 다섯 여섯개가 될 수도 있는 노릇이다.
오후에는 실행해볼 것